연로하신 부모님이나 어르신 지인들을 위한 요양 시설을 알아볼 때 가장 난감한 것이 과연 어디로 모셔야 믿고 안심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일 것입니다. 이런 가족들의 마음을 헤아리고자 서울시에서는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. 이는 서울시가 장기요양기관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여 시민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입니다. 이 인증제는 어르신 돌봄시설을 대상으로 표준 기준을 설정하고, 이를 충족하는 기관에 인증을 부여합니다.
1.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 대상 기관
- 데이케어센터 (주,야간 보호시설)
- 노인요양시설
- 안심돌봄가정
- 방문요양기관
2.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 기준
1) 인증 기준 지표
- 데이케어센터 인증 지표: 3개 영역, 10개 지표, 28개 세부지표
- 노인요양시설 인증 지표: 3개 영역, 10개 지표, 31개 세부지표
- 안심돌봄가정 인증 지표: 3개 영역, 10개 지표, 28개 세부지표
- 방문요양기관 인증 지표 : 3개 영역, 9개 지표, 21개 세부지표
영역 | 지표 |
좋은 서비스 | 서비스 계획, 서비스 제공, 서비스 관리, 권리보장 |
좋은 일자리 | 전문 인력 관리, 종사자 지원 |
좋은 기관 | 경영관리, 회계 및 재정, 시설안전, 돌봄환경 |
3.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 절차
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은 다음 절차를 통해 이루어집니다:
1) 사전교육 및 설명회 : 인증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참여를 유도.
2) 현장 심사 : 전문 심사위원이 기관을 방문하여 인증 기준 충족 여부를 평가.
3) 인증 부여 : 기준을 충족한 기관에 인증 마크를 부여.
4)사후 관리 : 이용자 만족도 조사 및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인 품질 개선 지원.
4.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의 혜택
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을 받은 기관은 다음과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:
1) 신뢰성 강화 : 시민들이 안심하고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공신력을 확보.
2) 운영 지원 : 서울시로부터 보조금 지원 및 운영 체계 개선.
3) 종사자 처우 개선 : 근로 환경 개선과 자부심 고취.
4) 네트워크 형성 : 인증기관 간 정보 공유 및 학습 공동체 구축.
5.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제의 긍정적 영향
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제는 이용자, 종사자, 기관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 이용자는 안정적이고 수준 높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종사자는 처우 개선과 근무 환경 향상으로 업무 만족도 증가되며 기관의 경우에는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 구축으로 투명성과 신뢰성 확보할 수 있습니다.
6.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 시설 현황
ㅇ 데이케어센터(196개소, 2024.06.13 기준) : https://news.seoul.go.kr/welfare/?p=50506
ㅇ 노인요양시설(49개소, 2024.12.18 기준) : https://news.seoul.go.kr/welfare/?p=50524
ㅇ 안심돌봄가정(12개소, 2024. 5. 31. 기준) : https://news.seoul.go.kr/welfare/?p=562841
ㅇ 방문요양기관(6개소, 2024.12.18. 기준) : https://news.seoul.go.kr/welfare/?p=523957
상기 링크를 연결하면 각 시설의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시설 주소, 및 전화번호는 변경되거나 상이할 수 있으므로 문의 전 국민건강보험공단홈페이지 장기요양기관찾기에서 재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(http://www.longtermcare.or.kr/npbs/r/a/201/selectLtcoSrch)
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제는 어르신 복지 향상과 장기요양서비스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 특히, 돌봄 서비스 품질의 표준화를 통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, 종사자와 기관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. 어르신 돌봄이 필요한 경우, 서울형 좋은 돌봄 인증 마크를 확인하여 믿고 선택하세요.
♣ 이전 발행글 같이 보기 ♣
서울시가 운영하는 시립노인요양시설 11개소 입소 절차 및 시설 현황
초고령화 사회로 들어섬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상태나 생활에 전문적인 도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 서울시는 사회적 필요성에 발맞춰 다양한 노인요양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서울
insight0123.tistory.com
서울시 구립 노인요양원 및 요양센터 정보
서울시는 다양한 구립요양원을 위탁운영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. 이들 요양원은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 질환 (치매, 뇌혈관성 질환, 파킨슨병 및 관련질환 등)을 가진 어르신
insight0123.tistory.com
[출처]
서울특별시 누리집 - https://news.seoul.go.kr/welfare/archives/50498
'복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 노인 일자리 신청 방법 총정리 (6) | 2025.04.06 |
---|---|
실손보험 가입연령 90세까지 연장 (노후 유병력자도 가입 가능) (0) | 2025.04.06 |
5세대 실손보험 총정리(4세대와 비교 및 강제전환여부 포함) (2) | 2025.04.05 |
경기공유서비스 '공유랑' 이용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4.02 |
휠체어 무료 대여 가능한 3곳 (공단대여사업은 종료) (2) | 2025.04.01 |